 > 제품소개 > 유공관
유공관
THP 유공관
토목용 암거배수관
개요, 용도 |
특징 |
규격 |
허용외압 |
개공율,흡수율 |
시공방법 |
■ 개요
THP유공관은 특수한 리브형태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외면은 코러게이트 형상의 산부와 네트형상의 흡입공을 가진 곡부로 구성되어 외압에 강하고 경량으로 플렉시블하게 굽히는 암거배수관 입니다. 특수한 네트모양의 흡수공을 적용하여 토사등의 막힘이 없는 우수한 흡수능력을 발휘하며, 내마모성, 내한성이 우수하고 시공성이 우수한 경제적인 제품입니다.
■ 용도
- 1. 골프장, 택지, 공장, 공원 등의 암거배수
2. 운동장, 테니스 코트, 골프장의 표면배수 3. 도로, 철도, 골프장, 택지등의 법면배수 4. 터널, 박스 칼바트, 옹벽등 구조물의 측면 배수 5. 과수원, 채소단지등의 암거배수 6. 간척지등의 염분제거용 암거배수 7. 도로 노상배수 8. 저습답의 암거배수 9. 초지조성 및 지반개량시 암거배수

■ 특징

- THP유공관은 제품이 가벼워 시공성이 좋고 파형구조의 관형상에 의하여 고성토의 외압하중에도 안전하며, 골부에 네트형상의 흡수공이 설계되어 흡수능력이 크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내마모성, 내한성,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관이 플렉시블한 구조로 굽힘성이 좋아 부등침하에 잘 대응된다. 시공성이 우수하고 기초공이 간단하여 공기단축 및 경비절감이 가능하다.
 |
1.흡수능력이 우수 관의 골부에 네트모양의 작은 구멍의 흡 수공이 많이 있기 때문에 토사 등에 의해 막힐 염려가 전혀 없고 다른 종류의 관에 비해 개공율이 높아 흡수 능력이 좋다. |
 |
2.외압하중에 안전 관의 단면을 파형구조의 독특한 Rib상 태로 하여 강도를 높이기 위해 특수가공 하였으므로 지중에 매설하였을 때, 외압력에 강하여 큰 하중에도 안전하다. |
 |
3.시공성, 경제성이 우수 HDPE관이기 때문에 콘크리트관, PCV관 등 종래의 유공관 보다 월등히 가벼워서 취급, 운반, 시공이 용이하며 공사비가 절감 및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
 |
4.굽힘성, 부등침하 안전성 굽힘성이 좋고 외압강도가 강하므로 지반의 부등침하에 잘 대응된다. |
 |
5. 내화학성이 우수 고밀도폴리에틸렌 재질이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내산, 내알카리 및 각종 유기물질에 부식 되지 않는다. |
 |
6.내한성이 우수 HDPE이기 때문에 영하 70℃에서도 깨어지거나 형태의 변형없이 강도를 유지하는 우수한 관이다. |
■ 규격
(단위 : mm)
호칭 | 바깥지름 | 안지름 | 피치 | 곡률반경 | 본당길이 |
Φ100 | 114±3.0 | 100±3.0 | 19±2.0 | 450 | 5 |
Φ150 | 170±3.0 | 150±3.0 | 20±2.0 | 750 | 4 |
Φ200 | 232±3.0 | 200±3.0 | 28±2.0 | 1000 | 4 |
Φ250 | 285±3.0 | 250±4.0 | 33±2.5 | 1200 | 4 |
Φ300 | 338±3.0 | 302±4.0 | 40±3.0 | 1600 | 4 |
■ 허용외압
관구조의 요철형상등에 강도를 높이기 위한 고도의 특수기술이 가해진 가공이므로 외부압력에 강하고 토압 및 윤압에 대하여 충분한 내하력을 지니고 있다.
THP유공관의 허용외압 |
구분
호칭 | 5%압축하중 (kg/m) | PS (kgf/cm2) | 허용외압 (ton/m) |
100 | 200 | 3.5 | 2.00 |
150 | 260 | 3.5 | 2.99 |
200 | 350 | 2.0 | 3.81 |
250 | 200 | 1.6 | 4.7 |
300 | 240 | 1.6 | 5.64 |
※ 압축강도 시험방법 : ASTM D 2412 |
여기서 |
W : 파이프의 허용외압 | (ton/m) |
PS : Pipe Stiffness | (kgf/cm2) |
E' : 흙의 반력계수 | (70kgf/cm2) |
Fd : 흙의 경시변화 계수 | (1.25) |
Fk : 기초지지각에 의한 정수 | (0.096) |
ΔD : 안지름의 5%변형량 | (cm) |
■ THP유공관의 개공율
개공율이 크면 흡수능력은 높아지지만 그많큼 흡수공으로 토사의 유입이 많고 막힘이 생기게 된다. THP유공관은 흡수부가 네트형상이기 때문에 토사유입을 방지하면서도 개공율이 높다.
THP유공관의 개공율은 다음식에 의하여 구한다.
THP유공관의 개공율 |
항목
호칭 | 100 | 150 | 200 | 250 | 300 |
개공면적 (cm2/m) | 170 | 243 | 376 | 399 | 535 |
개공율(%) | 5.4 | 5.2 | 6.0 | 5.1 | 5.7 |
흡수율 테스트
흡수율측정 장치에 의하여 흡수율을 측정한다.
이론배수량은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
규격(mm) | 이론배수Q。(m/sec) | 실측배수Q(m/sec) | 흡수율(%) |
100 | 71.8 | - | 100 |
150 | 77 | 57.7 | 74.9 |
200 | 82.6 | 60.8 | 73.6 |
300 | 96 | 131.9 | 136.4 |
■ 시공방법
1. 매설깊이
유공관의 매설깊이는 주위의 토질, 지하수면 상태등 여러 가지 요인을 감안하여 시공할 때 결정하 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또한 외압강도에 관해서는 하중표를 참고로 하여 매설깊이를 결정하십시오.
2. 굴토
보통의 지반 또는 잘 다져진 땅을 굴토하여 유공관을 매설할 경우 굴토 폭은 배관작업에 지장을 주 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급적 굴토폭을 적게 벽면이 연직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인 굴토방법입니다.
규격 | 굴토폭(mm) |
Φ100 | 250 |
150 | 350 |
200 | 450 |
250 | 550 |
300 | 700 |
400 | 900 |
3. 부설
THP유공관은 특수한 재질 등으로 제작하여 다소의 부등침하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도 파괴의 염려가 없으므로 관밑부분의 지반은 간단한 기초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THP유공관은 특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하여 관주위에 쇄석, 옥석 등을 필터재로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보통지반의 경우 기초공사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나 가급적 양호한 필터재(쇄석, 옥석 등)를 사용하여 그림에 표시한 최소 기초를 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 H : 10 ~ 15cm)

- 연약지반의 경우 매우 심한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재(쇄석, 옥석 등)로 채우고 충분히 다짐한 다음 기초를 만듭니다.
(H : 15 ~ 20cm)

■ PCF유공관의 개요 및 특징
● 개요
PCF유공관은 강판보강 PE 나선형관의 골부에 구멍가공을 한 유공관으로서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가벼워 시공성이 좋으며 일반 PE관에 비해 외압강도가 월등히 강한 고강도 유공관입니다.
● 용도
PCF유공관은 암거배수 등 유공관 시공시 외압하중을 많이 받는곳에 사용.
● 제품규격
호칭 | 안지름 | 바깥지름 | 피치 | 길이 | 원강성 | 비 고 |
(DN/ID) | ID | OD | P | L (m) | kN/m2 |
150 | 150±4.5 | 173±4.5 | 40±2.0 | 6 | SN40 | |
200 | 200±5.1 | 227±5.1 | 50±2.0 | 6 | SN40 | |
250 | 250±5.1 | 277±5.1 | 55±2.0 | 6 | SN32 | |
300 | 300±5.1 | 333±5.1 | 60±2.0 | 6 | SN32 | |
400 | 400±5.1 | 440±5.1 | 65±2.0 | 6 | SN26 | |
450 | 450±5.1 | 496±5.1 | 76±2.0 | 6 | SN26 | |
500 | 500±5.1 | 548±5.1 | 76±3.0 | 6 | SN26 | |
600 | 600±5.1 | 660±5.1 | 85±3.0 | 6 | SN26 | |
700 | 700±6.4 | 762±6.4 | 85±3.0 | 6 | SN22 | |
800 | 800±6.4 | 878±6.4 | 108±4.0 | 6 | SN22 | |
900 | 900±6.4 | 985±6.4 | 108±4.0 | 6 | SN22 | |
1000 | 1000±6.4 | 1086±6.4 | 108±4.0 | 6 | SN22 | |
1200 | 1200±6.4 | 1308±6.4 | 118±4.0 | 4 | SN22 | |
Note 1. 관의 길이는 6m 또는 4m를 표준으로 한다. 기타 길이는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2. 길이의 허용차는 (0~2)% 이다.
3. 관벽두께의 허용차는 (150~250)mm 관 ±8%, 300mm 이상 관±5% 이다.
4. PCF유공관 원강성은 PCF관의 95% 수준임.
※ 기타 일반적인 사항은 PCF관을 참고하세요.
|